리눅스나 유닉스에서 사용하는 vi 편집기 명령어
1) 명령 모드(command mode)
2) 입력 모드(insert mode) - 명령모드에서 "i" 나 "a" 명령을 통해서 입력 모드
vi 명령어 | 동작 |
w | - 현재 파일명으로 파일 저장. (저장만 함 꺼지지는 않음) |
w [파일명] | - 입력한 파일명으로 파일 저장. (저장만 함 꺼지지는 않음) |
q | - vi 종료 (저장되지 않음) |
q! | - vi 강제 종료 ( ! 가 붙으면 강제로 수행) |
wq | - 저장 후 종료 |
wq! | - 강제 저장 후 종료 ( ! 가 붙으면 강제로 수행) |
f [파일명] | - 파일이름을 [파일명]으로 변경 - 예시 : f abc.txt |
숫자 | - 해당 라인으로 커서 이동 |
$ | - 파일의 맨 끝 줄로 이동 |
e! | - 마지막 저장 이후 모든 편집 취소 |
3) 마지막 행 모드(Last line mode) - 마지막행 모드는 명령모드에서 ":" (콜론) 을 입력
vi 명령어 | 동작 |
w | - 현재 파일명으로 파일 저장. (저장만 함 꺼지지는 않음) |
w [파일명] | - 입력한 파일명으로 파일 저장. (저장만 함 꺼지지는 않음) |
q | - vi 종료 (저장되지 않음) |
q! | - vi 강제 종료 ( ! 가 붙으면 강제로 수행) |
wq | - 저장 후 종료 |
wq! | - 강제 저장 후 종료 ( ! 가 붙으면 강제로 수행) |
f [파일명] | - 파일이름을 [파일명]으로 변경 - 예시 : f abc.txt |
숫자 | - 해당 라인으로 커서 이동 |
$ | - 파일의 맨 끝 줄로 이동 |
e! | - 마지막 저장 이후 모든 편집 취소 |
4)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
> 명령모드 (esc 눌렀을때, vi 처음 들어갔을때)
1. 파일의 끝으로 이동할때는 - G
2. 한줄 잘라내기 - dd
3. 세줄 잘라내기 - 3dd
4. 붙여넣기 - p
5. 한글자 삭제 - x
6. 단어 삭제 - dw
7. 실행취소! - u
8. 줄의 맨 앞 - o
9. 줄의 맨 뒤 - $
> 마지막행 모드 (esc -> : 눌렀을때)
1. 저장만 : w
2. 종료만 : q
3. 저장 후 종료 : wq
4. 라인 번호좀 보자 : set nu
5. 커서 위치 뒤로 문자열좀 찾자 : ?문자열
6. 커서 위치 앞으로 문자열좀 찾자 : /문자열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압축 및 해제(tar, gz 명령어) (0) | 2022.01.20 |
---|---|
[Linux] 파일 삭제 및 철저하게 (rm명령어) (0) | 2022.01.19 |
[Linux] 프로세스 확인 및 종료 (0) | 2022.01.18 |
Tomcat 구동 중 재기동 없이 로그 삭제 (0) | 2022.01.17 |
댓글